[광고] 한 번 CLICK은 글 쓰는데 힘이 됩니다!!
평점 높은 타이어 전문점 찾기는 타닥에서~ 타이어 전문점을 검색해보세요!
타닥(타닥.xyz) : https://tadoc.xyz
*자세한 이용방법은 아래의 글을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타이어닥터-타닥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엔진 오일의 종류가 무엇이 있는지 소개하려 합니다.
1. 베이스가 되는 기름에 따라 분류
엔진오일의 기본이 되는 기름이 어떠한 것인가에 따라서 미국석유학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 약칭 API)의 분류에 따라 5개의 분류로 나뉩니다.
Group I, II에 속하는 광유와 Group III, IV, V에 속하는 합성유입니다.
2. Group I, II
광유(Mineral oil), 석유 정제 과정에서 얻는 부산물성 윤활유입니다.
원유에서 분별증류된 것을 여과하여 고체불순물 등을 최대한 제거한 것으로, 제1 그룹과, 제 2 그룹에 해당됩니다.
Group I - 분별증류된 기름 90% 미만, 황 0.03% 초과, 자동차기술자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약칭 SAE International) 점도지수 80~120의 것.
Group II - 분별증류된 기름 90% 미만, 황 0.03% 이하, SAE 점도지수는 Group II과 동일.
과거에는 가격 문제, 대한민국의 윤활유 제조사들의 기술적인 한계로 저가형 엔진오일인 순정 오일로 쓰였지만 2000년대 이후로 Group III 이상의 오일로 바뀌었습니다.
저가형 2행정 오토바이용 엔진오일이나 예초기 등 비 자동차용 엔진오일정도만 남아 있습니다.
잠시 저희를 홍보하는 짧은 광고가 있어요!
타이어에 궁금❓한 게 있으시면 위⬆의 그림을 CLICK✔
모바일📱은 위⬆의 그림을 CLICK✔
3. Group III
Very High Viscosity Index(VHVI). Group III 이후로는 모두 합성유입니다.
분별증류된 기름 90% 미만, 황 0.03% 이하, SAE 점도지수 120 초과의 것.
SK, GS, S-OIL이 세계의 VHVI 기유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팔리는 100% 합성유 가운데 저가 모델이나 자동차 제조사의 순정 엔진오일은 VHVI 기유 100%로 제조되고 품질도 매우 우수한 편입니다.
4. Group IV
폴리 알파 올레핀(Poly Alpha Olefin, PAO). 석유를 기본으로 하는 것은 다른 기유와 같지만, 광유와 달리 값비싼 나프타를 원료로 하여 주요 성분을 추출하고 합성하여 만듭니다.
광유에 비해 점도지수가 높고 저온 특성이 우수해 냉간 시동시 엔진 보호 효과가 좋으며, 예열이 빠르고 연비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유리한 편입니다.
5. Group V
Group I ~ IV 이외의 모든 것입니다.
에스터(Ester)
에스터 결합을 기반으로 한 합성 오일. 이 에스터는 원유, 식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등 기름이라면 웬만한 것에서는 다 얻을 수 있지만 보통 가격이 저렴한 석유를 원료로 삼습니다.
극성을 띠기 때문에 첨가제 용해성이나 윤활 효과도 좋고 청정성도 매우 우수하며 점도지수 역시 다른 오일에 비해 높아 고온에서의 점도 변화가 적고 저온 특성, 열전도도 좋은 오일입니다.
산화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Group III의 VHVI보다는 수명이 긴 편이지만, 고온에서 수분과 반응해서 가수분해 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싱과 같이 극단적으로 가혹한 환경에서는 수명이 짧습니다.
생분해성 친환경 오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알킬화 나프탈렌(alkylated naphthalene, AN)
엑슨모빌이 에스터를 대체해서 사용하는 오일로, 내산화성, 첨가제 용해도가 매우 우수하고 자체 극성을 가져서 엔진 표면에 먼저 달라붙어 첨가제와 경쟁하는 에스터와 달리 AN은 첨가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에스터에 비해 저온 특성이 나쁘고 점도지수가 낮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OSP(oil soluble polyalkylene glycol)
OSP는 점도지수, 전단안정성, 내산화성, 증발량이 우수하고 오일 자체로 마찰도 줄여줍니다. 그러나 첨가제 용해도가 나쁘고 가격이 비쌉니다.
안전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닥터-타닥이었습니다.
모두 안전주행하세요!
[광고] 한 번 CLICK은 글 쓰는데 힘이 됩니다!!
'타이어, 자동차 정보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네트(Bonnet) 여는법❓ 닫는법❓ (0) | 2021.11.09 |
---|---|
브레이크 패드는 언제 교체해야 할까❓ (0) | 2021.10.29 |
타이어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2) (0) | 2021.10.15 |
타이어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1) (0) | 2021.10.12 |
타이어효율등급제는 무엇일까? (0) | 2021.10.08 |